티스토리 뷰

(170321) 미디어·콘텐츠 산업론


강의노트 3. 미디어 다양성



□ 다양성의 정의


  ○ 사상의 자유시장


     1. 시장경제적 관점: 표현의 자유

        - 경쟁활성화를 통해 다양성 확보 가능: 진입장벽 낮춰라


     2. 사회가치적 관점: 정치적 사상의 다양성

        - 적절한 정부통제를 통해 다양성 확보 가능



  ○ 3가지 측면


     1. Product Diversity: 상품이나 서비스가 담고 있는 특성의 차별화된 정도


     2. Idea Diversity: 미디어가 제시하는 사상, 분석, 비판적 시각 등의 차별화된 정도


     3. Access Diversity: 다양한 관점에 대한 접근이 보장되는 정도


     * 시장경제적 관점: 시장에서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

     * 사회경제적 관점: 정부 규제 필요

       → 정답은 없음



     ※ 시장경제적 관점은 미디어의 외부성을 간과하고 있음

     ※ 사회가치적 관점은 미디어의 외부성을 지나치게 강조



  ○ 사상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다양성


(공급원) → (내용) → (소비)


     1. 공급원의 다양성: 가급적 다양한 공급원이 콘텐츠를 제작/배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는 논거

        - 20가지 반찬을 차려주면 소비자는 20가지 모두를 먹는다는 논거

        - 사회경제적 관점에 따르면 정부는 공급원의 미디어 소유규제

        - 소유규제가 아니라면, 내용규제
           But 내용규제는 표현의 자유를 완전히 거스르는 제도 … 내용규제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

        - 소비규제는 불가능


      2. Content Diversity

      3. Exposure Diversity(Horizontal/Vertical)


      4. 노출의 다양성에 대한 역설


      ※ 사상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다양성 구성 인자들 간의 관계

         [공급원의 다양성] ‥ [상품의 다양성] ‥ [노출의 다양성]
          - 잘 이어지고 있는가?



  ○ 다양성은 선인가?


      1. 여론의 다양성이 좋은 것인가?

         - 여론의 사전적 의미: 사회 대중의 공통된 의견

         - 공통된 의견이 다양하다는 것은 말 자체로 모순

         - 여론 형성과정이 자유로와야 한다는 뜻이여야 함


      2. 천안함 사고는 정치적 이슈가 아니라 "사실" 임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왜곡된 사실을 보도

          - 동일한 사회현상에 대해 관점이 다를 수 있지만 사실자체가 여러가지가 될 수는 없음 



  ○ 정부규제와 다양성 관련 실증연구들


     1. 독자들은 뉴스에서 자신의 사전적 믿음과의 합치만이 중요함

         - 뉴스가 실질적 실체와 얼마나 가까우냐는 중요하지 않음


     2. 미디어들의 사후 보도확인 경쟁이 심할 경우, 호도된 사실은 바로잡힐 수 있음

         - Fact Checking: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함

         - 미디어 가의 경쟁은 뉴스의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


'▶ Study  > * YS Univ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강의노트 5. 지상파 방송 (2017.04.04)  (0) 2017.04.04
(170317)ICT 기술과 경영  (0) 2017.03.17
(161005) 디지털경제론 5th  (0) 2016.10.05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