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(170321) 미디어·콘텐츠 산업론
강의노트 3. 미디어 다양성
□ 다양성의 정의
○ 사상의 자유시장
1. 시장경제적 관점: 표현의 자유
- 경쟁활성화를 통해 다양성 확보 가능: 진입장벽 낮춰라
2. 사회가치적 관점: 정치적 사상의 다양성
- 적절한 정부통제를 통해 다양성 확보 가능
○ 3가지 측면
1. Product Diversity: 상품이나 서비스가 담고 있는 특성의 차별화된 정도
2. Idea Diversity: 미디어가 제시하는 사상, 분석, 비판적 시각 등의 차별화된 정도
3. Access Diversity: 다양한 관점에 대한 접근이 보장되는 정도
* 시장경제적 관점: 시장에서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
* 사회경제적 관점: 정부 규제 필요
→ 정답은 없음
※ 시장경제적 관점은 미디어의 외부성을 간과하고 있음
※ 사회가치적 관점은 미디어의 외부성을 지나치게 강조
○ 사상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다양성
(공급원) → (내용) → (소비)
1. 공급원의 다양성: 가급적 다양한 공급원이 콘텐츠를 제작/배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는 논거
- 20가지 반찬을 차려주면 소비자는 20가지 모두를 먹는다는 논거
- 사회경제적 관점에 따르면 정부는 공급원의 미디어 소유규제
- 소유규제가 아니라면, 내용규제
But 내용규제는 표현의 자유를 완전히 거스르는 제도 … 내용규제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
- 소비규제는 불가능
2. Content Diversity
3. Exposure Diversity(Horizontal/Vertical)
4. 노출의 다양성에 대한 역설
※ 사상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다양성 구성 인자들 간의 관계
[공급원의 다양성] ‥ [상품의 다양성] ‥ [노출의 다양성]
- 잘 이어지고 있는가?
○ 다양성은 선인가?
1. 여론의 다양성이 좋은 것인가?
- 여론의 사전적 의미: 사회 대중의 공통된 의견
- 공통된 의견이 다양하다는 것은 말 자체로 모순
- 여론 형성과정이 자유로와야 한다는 뜻이여야 함
2. 천안함 사고는 정치적 이슈가 아니라 "사실" 임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왜곡된 사실을 보도
- 동일한 사회현상에 대해 관점이 다를 수 있지만 사실자체가 여러가지가 될 수는 없음
○ 정부규제와 다양성 관련 실증연구들
1. 독자들은 뉴스에서 자신의 사전적 믿음과의 합치만이 중요함
- 뉴스가 실질적 실체와 얼마나 가까우냐는 중요하지 않음
2. 미디어들의 사후 보도확인 경쟁이 심할 경우, 호도된 사실은 바로잡힐 수 있음
- Fact Checking: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함
- 미디어 가의 경쟁은 뉴스의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
'▶ Study > * YS Univ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의노트 5. 지상파 방송 (2017.04.04) (0) | 2017.04.04 |
---|---|
(170317)ICT 기술과 경영 (0) | 2017.03.17 |
(161005) 디지털경제론 5th (0) | 2016.10.0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G충방
- R스튜디오
- 반값패스
- 정보통신망법 개정안
- 쏘카패스
- 워드크라우드
- 네이버
- 유료방송업계
- 쏘카 비교
- 뉴스 모아보기
- 모바일 퀴즈
- SQIZ
- 단어 추출
- 멀티채널 네트워크
- 선탑재 앱
- CJ헬로
- 구독경제
- R프로그램
- 창조경제타운
- 서강대학교
- 뉴스 앱
- 아이피티비
- 서강대
- 쏘카 할인
- 모야 어플
- 모야 앱
- 딜라이브
- 키워드 뉴스
- AI뉴스
- 콘텐츠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